>> 삼출성 중이염

1) 삼출성 중이염이란?

 고막보다 내측의 중이강내에 액체가 고인 중이염을 말한다.

2) 삼출성 중이염은

1) 이관기능의 장애  2) 급성중이염의 후유증으로 생긴다.

'이관'이란 귀(중이)와 코 뒤쪽을 연결하는 관으로 고막의 안과 밖의 압력을 같게 해주며 중이강내의 배설기능을 갖고 있다. 감기 등으로 이관에 염증이 생겨서 붓거나, 어린이에서 아데노이드가 크거나, 코속에 혹이나 이물이 있거나, 만성 부비동염(축농증) 등이 생기면 이관이 막혀서 이관기능장애가 생긴다. 처음에는 중이강 속이 음압으로 되고 고막이 함몰되나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체액이 고여서 삼출성 중이염이 된다. 또 다른 중요한 원인은 감기로 인하여 생기는 급성중이염의 불완전한 치료로 삼출성 중이염이 생긴다.

3) 증 상

귀가 막히는 느낌, 가벼운 통증, 난청, 이명 등의 증상이 있다. 높은 산을 오르거나, 엘리 베이터가 급속히 상승할 때, 비행기의 이착륙시에 건강한 사람도 일시적으로 느끼는 증상이 다. 소아의 경우 대답을 잘 하지 않거나, 텔레비전의 볼륨을 높이거나, 또는 너무 가까이에 서 시청하므로 보호자에게서 발견되어 병원에 오는 일이 많다. 또는 편도선이 크거나, 잠잘 때 코를 골거나, 입을 벌리고 숨을 쉬는 어린이에게서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던 중 발견되기 도 한다.

4) 무엇이 가장 문제인가?

유소아의 삼출성 중이염은 난청으로 인해 언어발달이 지연되거나 학동기 어린이에서는 학 습능률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방치시에는 유착성 중이염이나 진주종성 중이염과 같은 난치성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5) 진단 및 치료

전문의들은 간단히 고막을 보는 것만으로도 진단이 되며 청력검사로 확진을 할 수 있다. 삼출액이 생긴 원인이나 그 양상에 따라 치료에 차이가 있기는 하나 2-3주 내지 2개월 간 의 꾸준한 약물투여와 껌을 씹는 등의 방법을 통해 이관을 자극시키는 방법이 우선적이며 이런 약물요법으로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때 고막을 절개한 후 환기관을 삽입해주는 수술 적 방법을 시행하게 된다. 현미경을 사용하여 삽입하게 되며 소아의 경우 필요에 따라 전신 마취를 통하여 시행할 수 있다. 본원의 경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만 4세 까지는 입원 하지 않고 외래에서 국소마취를 하여 환기관 시술을 시행하고 있다. 환기관은 대개 6개월 내지 12개월 정도 되면 고실내가 정상으로 치유되면서 자연히 배출되며 절개된 고막은 자연 히 재생되게 된다. 소아에서는 아데노이드(인두편도)의 비대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X선 검사를 거쳐 아데노이드 및 편도절제술을 함께 시행하는 경우가 있다.
 

COPYRIGHT @ 다나이비인후과. ALL RIGHTS RESERVED 031)719-566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154번지 (미금프라자5층, 미금역 2번 출구)